browser icon
You are using an insecure version of your web browser. Please update your browser!
Using an outdated browser makes your computer unsafe. For a safer, faster, more enjoyable user experience, please update your browser today or try a newer browser.

“왜 인간은 실수하는가?”를 10개 학문 체계로 동시에 설명

Posted by on 11월 17, 2025

1) 철학(Philosophy)

인간은 유한성을 가진 존재다.

세계 전체를 인식할 수 없으므로 필연적으로 오류가 발생한다.

실수는 존재의 한계가 드러나는 방식이다.


2) 인지과학(Cognitive Science)

뇌는 정보를 압축해 처리한다.

압축은 효율을 주지만 정확도를 잃는다.

실수는 뇌의 압축 알고리즘의 부산물이다.


3) 언어학(Linguistics)

언어는 세계의 단순화된 모델이다.

단어로 표현하는 순간 이미 ‘왜곡’이 들어간다.

실수는 언어 모델과 현실의 불일치에서 생긴다.


4) 심리학(Psychology)

감정은 판단을 편향시킨다.

두려움, 기대, 피로, 스트레스는

사고 체계를 순간적으로 비틀어 실수를 만든다.


5) 신경과학(Neuroscience)

신경 회로는 완벽하지 않다.

뉴런의 발화는 확률적이며,

시냅스는 온도·영양상태·수면·호르몬에 따라 성능이 달라진다.

즉, 실수는 물리적 신경 시스템의 노이즈다.


6) 진화생물학(Evolutionary Biology)

진화는 “정확한 존재”가 아니라

“충분히 괜찮은 존재”를 만든다.

빠른 반응이 생존에 유리했기 때문에

정확성보다 속도가 우선시되었다.

실수는 진화적 타협의 결과다.


7) 경제학(Economics)

인간의 선택은 항상 제한된 정보 아래 이루어진다.

제약된 합리성(Bounded Rationality)이 존재한다.

정보 비용·시간 비용·인지 비용 때문에

실수는 경제적 합리성의 부산물이다.


8) 사회학(Sociology)

사회는 규범·기대·역할·분업으로 구성된다.

인간은 사회적 압박 아래에서 판단한다.

타인의 시선, 규칙, 권력 구조가

원래의 판단을 왜곡해 실수를 만든다.


9) 정치학(Political Science)

인간은 항상 권력 구조 안에서 의사결정을 한다.

권력은 정보 흐름을 제한하고 왜곡한다.

조직 내 권력관계, 위계, 책임 구조 속에서

실수는 체계적 구조에 의해 만들어진다.


10) 시스템 이론(Systems Theory)

모든 행위는 복잡계 안에서 이루어진다.

복잡한 시스템에서는

작은 정보 누락·잡음·지연·대체 입력이

전체 결과를 흔든다.

실수는 복잡계의 자연스러운 결과다.


🌐 통합 결론 (IIM 방식)

인간이 실수하는 이유는 하나가 아니다.

생물·뇌·언어·감정·사회·권력·시스템이 동시에 작동하는 가운데

정보는 항상 손실되고, 왜곡되고, 비용이 발생한다.

그래서 실수는

“수정 가능한 오류”가 아니라

인간 존재의 본질적 구조이다.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