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r icon
You are using an insecure version of your web browser. Please update your browser!
Using an outdated browser makes your computer unsafe. For a safer, faster, more enjoyable user experience, please update your browser today or try a newer browser.

대구고등법원 2022나24958 판결(2024.12.18.)

Posted by on 11월 15, 2025

✅ 초간단 요약 (핵심만)

1) 이 사건의 본질

원고들은 A회사(피고)에 파견되어 일했는데,

A회사 정규 기능직과 동일·유사 업무를 수행했음에도

더 낮은 임금을 받았다

파견법상의 차별금지 위반과 직접고용의무 불이행을 이유로 손해배상을 청구한 사건.


2) 법원의 판단 요지

  1. 근로자파견관계 인정
    • 피고와 Z업체 근로자들은 제조 공정이 완전히 연동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같은 업무 → 동종·유사 업무 수행
    • 피고가 작업자 수·근무형태·속도까지 통제 → 파견이 아니라 사실상 피고의 노동력 사용
  2. 임금 차별 인정
    • 피고 기능직과 본질적 차이 없는 업무
    • 임금 결정에도 피고가 실질적 영향 → 파견법 제21조 위반 → 불법행위 성립
  3. 직접고용 의무 불이행 책임
    • 피고는 직접고용을 해야 하는데 이를 이행하지 않음 → 직접고용의무 불이행은 불법행위 + 손해배상 책임
  4. 소멸시효 주장 배척
    • 임금채권이 아니라 불법행위 손해배상이므로 근로기준법 3년 시효가 아니라 민법 시효 적용
    • 원고들이 ‘불법행위 요건을 알게 된 시점’도 피고 주장과 달리 인정되지 않음 → 소멸시효 완성 아님

3) 결론 (주문)

  • 피고는 원고들에게 미지급 임금 차액 전부 + 지연손해금(연 12%) 지급
  • 원고 전원 승소
  • 소송비용도 피고 부담
  • 일부 금액은 가집행 가능

⭐ 한 문장 요약

파견형태로 일했지만 실제로는 피고 회사 소속 기능직과 같은 일을 했으므로,

임금차별은 불법이고, 직접고용 의무도 이행해야 하므로

피고는 모든 임금 차액을 배상하라. 


IIM 관점에서 본 이 판결의 구조적 의미

DY-K 모드 — 이 판결을 언어·논리·감정·철학 4축으로 해부)

아래 해설은 업로드된 대구고등법원 2022나24958 판결문의 사실·이유 부분을 바탕으로 IIM 방식으로 구조화한 것이다.

(판결 사실 관계는 모두 해당 문서에서 인용) 


🧠 IIM 관점에서 본 구조적 의미 — 4축 통합 분석

이 판결은 “노동 분쟁 1건”이 아니라,

한국 노동시장의 구조적 문제(OS) 가 그대로 드러난 사건이다.

즉,

‘법적 판단’이 아니라

‘시스템의 인식 문제’를 해결한 판결.

IIM의 네 축에 따라 보면 그 의미가 명확하게 드러난다.


1) 언어(Language) 축 — ‘명칭’이 아니라 ‘실질’을 언어로 재정의했다

피고는 “도급”, “파견 아님”, “협력업체 인력”이라는 언어적 라벨로 책임을 회피했다.

하지만 법원은 다음 사실을 인정한다:

  • 작업지시, 근무형태, 투입인원, 작업속도 등 핵심 통제권이 피고에게 있었음
  • 원고들의 업무가 피고 기능직 근로자와 동종·유사

→ 언어상의 ‘도급’이 아니라 실제 내용이 파견이라고 판단.

IIM 언어 축 관점:

  • 이 판결은 **라벨(도급/파견)**이 아니라 **실제 의미(실질적 노동력 지휘·감독 관계)**를 중심에 놓았다.
  • 즉, 언어를 ‘가리는 도구’가 아니라 구조를 드러내는 도구로 복원한 것.

2) 논리(Logic) 축 — ‘형식 → 실질’로 판단 체계를 전환

법원은 논리 구조를 다음과 같이 재배열했다:

  1. 업무 실질 파악
    • 기능직과 원고의 업무 차이가 없음
    • 생산라인 통합 운영, 동일한 목적과 공정
  2. 지휘감독 실질 파악
    • 피고가 작업지시·근무형태를 통제
  3. 법적 구조 대입
    • 실질이 파견 → 파견법적 차별금지, 직접고용의무 적용

IIM 논리 축 관점:

  • **‘형식 → 결론’**이 아니라 ‘사실 구조 → 관계 → 법적 의미’ 흐름으로 판단.
  • 즉, 현실의 구조를 먼저 본 뒤 법률을 대응시키는 메타 논리를 적용한 판결이다.

3) 감정(Emotion) 축 — 노동자의 불안정·피로를 제도적으로 완충

문서 전체에 걸쳐 반복되는 사실관계는:

  • 원고들은 피고와 동일 공정에서 일하면서도 더 낮은 임금·더 큰 불안정·직접고용 부재 상태에 있었음
  • 차별 인식이 누적되어 장기간 분쟁이 이어짐

법원은 이 감정적 불균형을 법적 구조의 왜곡에서 발생한 문제로 보았다.

IIM 감정 축 관점:

  • 감정 축이 “얻어맞거나 위로받는” 문제가 아니라 구조적 불균형 → 개인 감정의 불안정 → 사회적 피로 라는 흐름을 해소한 판결이다.

즉, 법원은 개별 감정이 아니라

감정이 발생한 구조를 바로잡음으로써 조정했다.


4) 철학(Philosophy) 축 — ‘노동의 본질’에 대한 시스템적 선언

가장 중요한 지점.

법원은 이렇게 말한 셈이다:

“노동관계는 명목이 아니라,

실제로 누가 노동력을 지휘·관리하고 이익을 얻는가로 정해진다.”

이건 법적 판단을 넘어

노동 존재론(노동이 무엇인가)에 대한 철학적 선언이다.

IIM 철학 축 관점:

  • 노동은 “회사 간 계약”이 아니라 **“실제 노동력을 사용하는 쪽의 책임”**이라는 인간 중심 철학
  • 사회가 복잡해질수록 책임이 흐려지는 구조를 바로잡는 방향성
  • ‘노동자 보호’가 아니라 노동이라는 행위 자체의 존엄성을 인정한 판단

🎯 IIM 종합 결론 — 이 판결의 구조적 의미

“도급 vs 파견” 같은 라벨 싸움이 아니라

노동 OS 전체를 재정렬한 판결이다.

  • 언어: 라벨이 아니라 실질 의미
  • 논리: 형식 논리 → 구조 논리
  • 감정: 개인 감정이 아니라 구조적 불균형 해소
  • 철학: 노동의 본질을 인간 중심으로 재확인

이 판결은 개별 노동 분쟁 해결에 그치지 않고,

한국 노동시장 구조(OS)의 업그레이드를 요구하는 신호탄에 가깝다.

https://www.scourt.go.kr/portal/news/NewsViewAction.work?pageIndex=1&searchWord=&searchOption=&seqnum=10729&gubun=4&type=5

답글 남기기